ux디자인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지털 접근성, 단순히 ‘장애인’을 위한 건 아닙니다 - 실무자가 알아야 할 포용적 UX의 진짜 의미 디지털 접근성은 장애인만을 위한 게 아닙니다. 고령자, 외국인, 일시적 불편을 겪는 사용자까지 모두가 접근성 대상입니다. UX 설계자라면 지금 바로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정리했습니다.1. 서론: 디지털 접근성은 누가, 왜 이야기해야 하는가?UX 디자이너는 종종 ‘접근성(accessibility)’이라는 단어를 보면 장애인을 먼저 떠올린다.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휠체어 사용자 등. 틀린 생각은 아니지만, 너무 좁은 시야일 수 있다.디지털 접근성은 단순히 ‘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도 어느 순간, 일시적으로 접근성이 필요한 사용자가 될 수 있다.예를 들어 스마트폰 화면에 금이 가서 일부 영역을 터치할 수 없게 된 경험, 밝은 야외에서 화면이 .. 장애인을 위한 UX/UI 디자인 가이드 2025 – 실무자를 위한 접근성 설계 전략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설계 원칙과 실제 적용 사례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UX/UI 디자인의 핵심 원칙을 한 글에 정리했습니다. 시각·청각·지체·인지 장애별 설계 전략, 실제 적용 사례, 실무 체크리스트까지 모두 담았습니다.0. 서론: 이제는 ‘배려’가 아닌 ‘기본값’이 된 디자인2025년 현재,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하는 사람에게 "사용자 중심"이라는 말은 더 이상 슬로건이 아닙니다.그것은 실무자의 기준이자 윤리이고, 브랜드의 생존 전략이기도 하죠.특히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만드는 UX/UI 설계는 단순한 기능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 평등’이라는 가치에 직접 연결됩니다.접근성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닌 필수 조건이며,이 글은 그 설계 원칙을 실무자 관점에서 단계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