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X설계

(2)
접근성을 위한 UX/UI 설계 원칙 6가지,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서론: 접근성이 곧 사용성이다디지털 접근성(Digital Accessibility)은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닙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5%에 해당하는 10억 명이 다양한 형태의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디지털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책임입니다.접근성 좋은 설계는 장애를 가진 사용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합니다. 명확한 색상 대비는 밝은 햇빛 아래에서도 화면을 쉽게 볼 수 있게 하고, 키보드 탐색 지원은 마우스 없이도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6가지 핵심 접근성 설계 원칙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합니다.1. 시각적 접근성: 색상과 대비를 통한 정보 전달색상 대비 비율 준수하..
시각장애인을 위한 UX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 UX 설계 시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5가지 요소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스크린리더 호환, 대체 텍스트, 키보드 탐색, 피드백 구조 등 실제 적용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고 보이지 않아도 완전한 사용자 경험을 위한 설계 원칙을 실무에 바로 적용해 보세요.서론: 시각 중심의 UX, 시각이 없다면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디지털 서비스의 대다수는 ‘보는 사람’을 기준으로 설계된다.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명 이상이 시각장애를 겪고 있으며,이들은 화면을 볼 수 없거나, 일부만 볼 수 있는 조건에서 콘텐츠를 소비하고 서비스를 이용한다.이들은 화면을 ‘보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리더(화면 낭독기)를 통해 듣고,포커스를 이동시켜 구조를 탐색하며, 키보드나 보조 장치로 조작한다.즉, UX의 인지·이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