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 다이아몬드는 디자인과 혁신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모델입니다. 이는 어떤 디자인이나 혁신 프로젝트에서도 사용되는 방법이나 도구와 무관하게, 그 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 간단하고 명확한 방식입니다.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더 나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경험하세요.
1. 서론: 왜 더블 다이아몬드인가?
많은 조직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막연한 방향으로 달려갑니다. 하지만 그렇게 시작한 프로젝트는 종종 엉뚱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용자의 기대와 전혀 맞지 않는 결과물을 만들게 됩니다. 이런 문제의 핵심은 ‘문제를 잘못 정의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디자이너와 기획자, 그리고 서비스 기획자들은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라는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모델은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고, 정확한 솔루션을 도출하기 위한 구조적 사고방식을 제공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더블 다이아몬드의 개념부터 실무 적용법,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디자인 프로세스가 막막했던 분들, 사용자 중심 설계를 고민하는 스타트업, 그리고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모든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란?
더블 다이아몬드는 영국의 Design Council이 2005년에 제안한 디자인 전략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름 그대로 두 개의 다이아몬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다이아몬드는 ‘확산(Diverge)’과 ‘수렴(Converge)’을 반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4단계 요약:
- Discover (발견): 문제를 넓게 탐색한다.
- Define (정의): 핵심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한다.
- Develop (개발):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실험한다.
- Deliver (전달):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구현하고 배포한다.
이 구조는 단순히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전체의 방향성과 사용자 중심 사고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단계별 상세 설명
3.1 Discover – 문제를 넓게 탐색하기
첫 번째 단계인 Discover는 사용자와 시장, 환경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선입견을 배제하고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수집합니다.
실무 활용법:
- 사용자 인터뷰 및 설문조사
- 관찰 조사 및 일상 맥락 탐색
- 데이터 분석 및 경쟁사 분석
예시: 한 모바일 헬스케어 앱 팀은 높은 이탈률의 원인을 'UI 불편'으로 판단했지만, Discover 단계에서 실제로는 ‘기록 기능의 복잡함’이 주요 원인임을 밝혀냈습니다.
3.2 Define – 문제를 명확히 설정하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를 좁혀가는 단계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사용자에게 진짜 중요한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입니다.
활용 기법:
- 페르소나 및 사용자 여정 맵
- 인사이트 도출 및 클러스터링
- 문제 진술문 작성 (“어떻게 하면 ___ 할 수 있을까?”)
예시 문장:
“우리는 바쁜 직장인이 아침 출근길에 앱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처럼 명확한 문제 정의는 다음 단계에서의 아이디어 도출과 실험의 기준이 됩니다.
3.3 Develop – 해결책을 넓게 탐색하기
이제 본격적인 아이디어 발산 단계입니다. 다양한 해결책을 상상하고,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반복적으로 실험해 나갑니다.
도구 및 방법:
- 브레인스토밍
- 와이어프레임 제작
- 저충실도 프로토타입 테스트
핵심은 반복입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험을 통해 해결책을 구체화해나가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3.4 Deliver – 최종 솔루션 전달하기
최종 단계인 Deliver에서는 검증된 아이디어를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로 구현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실제 반응을 확인하고, 최종 솔루션을 세상에 내놓습니다.
구체적인 액션:
- MVP 개발
-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및 개선
- 최종 제품 론칭
이때, 사용자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마지막 수정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사용자 가치가 반영된 결과물이 완성됩니다.
4. 실제 사례 소개
사례 ① 영국 Design Council의 공공서비스 개선 프로젝트
문제: 시각장애인의 대중교통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
Discover: 장애인 사용자 대상 인터뷰 및 이용 환경 관찰
Define: 복잡한 정보 구조와 청각 중심 알림 체계가 문제임을 발견
Develop: 시각·촉각 중심의 정보 제공 시스템 아이디어 도출
Deliver: 실제 버스 정류장에 음성 및 진동 안내장치 도입 → 만족도 30% 증가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 관찰 없이 단순 기술적 개선만 추구했다면 절대 도출될 수 없는 해결책이었습니다. 더블 다이아몬드를 충실히 따랐기에 가능한 성공사례입니다.
사례 ② 국내 스타트업의 UX 개선 프로젝트
문제 상황: 쇼핑 앱의 회원가입 전환율이 낮음
Discover: 이탈 로그와 고객 피드백 분석 → “복잡한 인증 절차”가 문제
Define: 핵심 문제를 “첫 진입에서의 피로도”로 재정의
Develop: 간편 로그인, 비회원 접근, 인증 UI 개선안 A/B 테스트
Deliver: 간편 인증 기능 도입 → 전환율 18% 증가, 고객 만족도 상승
이 사례는 스타트업이 빠르게 문제를 정의하고, 작은 실험을 반복함으로써 실질적 성과를 낸 전형적인 더블 다이아몬드 적용 예시입니다.
5. 더블 다이아몬드의 장점과 유의점
5.1 장점
- 사용자 중심성: 사용자의 문제에서 출발
- 반복적 개선: 시행착오를 허용하고 정제
- 팀 협업 구조: 단계별 논의와 피드백 가능
5.2 유의점
- 시간 소요: 빠른 결과가 필요한 상황에는 부적합
- 팀 정렬 필요: 전원 참여와 공감대가 필수
- 수집된 정보 해석의 편향 가능성
이런 단점을 인지하고 유연하게 적용할 때 더블 다이아몬드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6. 마무리: 실무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더블 다이아몬드는 단지 디자이너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기획자, 마케터, 개발자, 창업자 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사고 도구입니다.
실무 적용을 위한 질문 리스트:
- 이 문제는 사용자에게 진짜 중요한가?
- 지금 보고 있는 현상 뒤에 숨은 원인은 무엇인가?
- 다양한 해결책을 충분히 실험해봤는가?
- 사용자 피드백이 솔루션에 반영되었는가?
참고 사이트
마지막 한마디.
더블 다이아몬드는 단순한 디자인 절차가 아닙니다. 문제를 깊이 들여다보고, 의미 있는 해결을 추구하는 사고 방식 그 자체입니다.
지금 당신의 프로젝트는 어디에 있나요? 더블 다이아몬드를 도입해보세요. 생각보다 많은 것이 달라질 것입니다.
관련 글 더 보기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이 모든 제품에 Apple 접근성을 어떻게 녹여 넣었는가? — UX/UI 디자이너를 위한 실무 인사이트 (0) | 2025.07.04 |
---|---|
컬러 대비와 텍스트 크기 – 시력 약화 사용자를 위한 UI 팁 (0) | 2025.07.03 |
접근성 좋은 버튼 디자인,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 모두를 위해 (0) | 2025.07.02 |
접근성을 위한 UX/UI 설계 원칙 6가지, 실제 예시로 이해하기 (0) | 2025.07.01 |
지체장애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한 키보드 UX 전략 (1) | 2025.06.30 |